모든 암, 특히 폐암의 주범이라는 담배 이제는 끊어야 할 때다.
국가에서 시행하는 여러 금연 프로그램이 있으니 본인에게 맞는 것을 선택하자.
1. 금연 전화 상담
보건소, 병원 등을 방문할 시간이 없다면, 금연 상담 전화를 이용해 보자.
금연 전문 상담가에게 1:1 맞춤형 금연 프로그램을 안내 받을 수 있다.
상담 전화 1544-9030
운영 시간 평일: 09:00~22:00, 주말 09:00~18:00
2. 보건소 금연 클리닉 금연 상담, 금연 보조제 및 치료 서비스를 제공
첫 방문 : 금연 상담, 니코틴 패치. 껌, 금연 보조제, 부프로피온 등 금연 치료제를 무료로 제공한다.
이후 6개월간 주기적으로 니코틴 수치를 체크하며 전화 문자 방문 상담으로 금연을 유지 할 수 있도록 밀착 관리해 준다.
청소년은 물론 주민등록상 지역 주민이 아닌 경우에도 보건소 금연 클리닉 서비스를 이용 할 수 있다.
금연 성공 시 보건소에 따라 소정의 상품이나 금연 성공 지원금을 주기도 한다.
3. 가까운 동네 병원 금연 치료 프로그램
금연 치료 기관으로 선정된 병원에서 금연 치료 프로그램을 무료로 운영한다.
처음 2회까지 본인 부담금 20% 지불, 3회부터 전액 무료. 프로그램을 그만두지 않고 끝까지 수행 할 경우 앞에 2회차 냈던 부담금을 다시 돌려 받을 수 있다.
금연 치료 기관 검색 : 국민 건강 보험 공단
4.합숙형 금연 프로그램
일반 흡연자- 1박2일, 무료
중증. 고도 흡연자- 4박 5일, 참가비 10만원
* 중증. 고도 흡연자란? 흡연 경력 20년 이상에 금연을 두 번 이상 실패한 경험이 있으며, 흡연 관련 병(폐암, 후두암, 뇌졸중 등)이 있는 사람
금연 지원 센터 검색 : 금연 두드림
5. 방문 금연 서비스
청소년, 여성, 장애인 등 기존 금연 지원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흡연자를 대상
흡연자가 소속한 단체나 기관을 정기적으로 방문해 6개월간 9회에 걸쳐 방문. 전화 상담을 제공
금연보조제(위기청소년 제외), 은단, 비타민, 지압봉 등을 지원해준다.
우울증에 좋은 음식, 감정 기복에 좋은 음식, 우울증 예방 음식 feat. 세로토닌 음식 (0) | 2020.01.16 |
---|---|
일용직 노동자 건강보험, 일용직 근로자 의료보험, 직장가입 (0) | 2020.01.11 |
제1형 당뇨 당뇨병 관리 기기 의료보험 적용, 소아 당뇨 건강보험 적용 (0) | 2020.01.09 |
의료보험 피부양자 자격,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 등록 (0) | 2020.01.08 |
간, 심장, 담췌관 등 복부. 흉부 MRI 검사 비용 건강보험 (0) | 2020.01.07 |